Summary
제품명 : Lilys AI
이용 목적 : 긴 타임라인의 영상에서 특정 정보만 빠르게 추출하고자 할 때 이용
장점 : 영상을 다 보지 않아도 원하는 정보만 찾아 볼 수 있어서 시간을 아낄 수 있어요. 초안 정도 수준이지만 텍스트 요약본을 활용한 블로그 글 생성 기능이 있어, 제2의 창작 컨텐츠를 만들어볼 수 있습니다.
단점 : 검색 기능이 없어서 요약된 내용에서 찾고자 하는 정보를 직접 탐색해야 합니다.
AI를 활용한 제품이 쏟아져 나오는 지금, 2024년 1분기 저의 개인 목표 중 하나는 다양한 제품들을 써보고 어떤 영역에 활용해볼 수 있을지 테스트하는 것인데요, 이에 앞서 먼저 어떤 제품들이 나와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해당 내용과 관련된 영상이 있어, 이 영상에 언급된 툴을 먼저 리스트업해보겠습니다.
1시간이 넘어가는 영상을 다 볼 수 없어서, AI 제품 사용기 컨텐츠이니만큼, 영상을 요약해주는 툴을 사용해봤습니다.
제가 사용한 툴은 lilys.ai로, 아래는 이를 사용해서 요약한 결과 이미지입니다.
(찾아보니 Glarity나 YouTube Summary with ChatGPT도 좋지만 익스텐션을 설치하고 싶지 않아서 저는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동작하는 툴로 선택했습니다. 전에 한번 써봤던 Traw는 곧 서비스 종료라고 하네요..)

메인 기능은 영상을 텍스트로 간단히 요약해주고, 주요 내용의 타임라인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요약 노트에서 개별 타임라인을 펼쳐보면 아래와 같이 세부 내용을 보여줍니다.

이 영상을 시청하는 저의 주요 목적은 써볼만한 AI 툴 리스트업이었기 때문에, 빠르게 관련 정보만 스캔하겠습니다. 영상에서 소개된 툴은 아래와 같습니다.
- traw.ai (서비스 종료 예정)
- lilys.ai
- Gamma
- 클로바X
- chatGPT
썸네일에서는 AI툴을 소개하고 생산성을 얼마나 향상시켜주는지에 대한 내용일 것 같지만, 요약 내용을 보면 주요 내용은 AI에 관심 있는 일반인을 타겟으로 트렌드 전반에 대한 소개입니다. 따라서 저에게는 영상이 그다지 유용한 정보가 아니었습니다. 릴리스에이아이를 통해 영상을 요약해서 제가 원하는 정보만 찾아봤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참고로 Lilys는 요약한 영상 캡쳐 이미지와 함께 블로그 글도 생성해주는데요, 아직까지는 생각보다 정교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초안 정도로 활용하기에는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초기 제품인만큼 많은 기능이 있지는 않습니다. 사용자의 이용 목적을 생각해봤을 때, 특정 정보만 빨리 찾기 위한 검색 기능이 들어가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음글에서는 활용해볼만한 AI 툴을 좀 더 리스트업하고, 사용기를 하나씩 올려보겠습니다.